Daily note 63

Today I Learned(TIL)-22

------------------------------------- 오늘의 학습 키워드 --------------------------------------int함수 :숫자열 integerstr : 문자열 string  -------------------------- 공부한 내용 본인의 언어로 정리하기 --------------------------문제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제한 조건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예를들어 str이 "1234"이면 1234를 반환하고, "-1234"이면 -1234를 반환하면 ..

Daily note 2024.07.25

Today I Learned(TIL)-21

------------------------------------- 오늘의 학습 키워드 -------------------------------------- lower : 대문자로 있는 문자열을 소문자로 바꿔줌count : 리스트 안의 문자열 갯수를 셈 -------------------------- 공부한 내용 본인의 언어로 정리하기 --------------------------문제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

Daily note 2024.07.24

Today I Learned(TIL)-20

------------------------------------- 오늘의 학습 키워드 -------------------------------------- ㅁ평균값 구하기ㅁsum = 정수들의 합함len =객체의 길이 ㅁ 구구단 ㅁ이중 for문 사용줄바꿈 설정 print( '  ' ) -------------------------- 공부한 내용 본인의 언어로 정리하기 -------------------------- 문제1 평균값 구하기정수를 담고 있는 배열 arr의 평균값을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arr은 길이 1 이상, 100 이하인 배열입니다. arr의 원소는 -10,000 이상 1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arr          ..

Daily note 2024.07.23

Today I Learned(TIL)-19

------------------------오늘의 학습 키워드-----------------------------------ㅇ 자연수 n을 뒤집어 각 자리 숫자를 원소로 가지는 배열 형태로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2345이면 [5,4,3,2,1]을 리턴합니다. ㅇ 숫자열을 문자열로 바꿀줄 알아야한다!----------------------공부한 내용 본인의 언어로 정리하기--------------------------def solution(n): # 함수정의 answer=[] return list(map(int, reversed(str(n)))) # 정수 n을 문자열 전환, 5,4,3,2,1,출력을 변환, 숫자열 전환 리스트로 출력print(solution(12345)) 자..

Daily note 2024.07.22

Today I Learned(TIL)-18

# 1) 하나의 함수는 3개의 숫자를 받는다. 호출을 하면 안에 숫자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라## 위의 함수 기능을# 3개의 숫자가 아닌 100개든 1000개든 10000개의 입력을 받아도 평균 값을 구하는 함수로 변경해주세요# 1) 하나의 함수는 3개의 숫자를 받는다. 호출을 하면 안에 숫자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라# def number(*args): #함수정의# rlt = sum(args)/len(args) #arg의 정의된 인자를 모두 더함/ arg의 인자의 개수# print(rlt) # 출력# -----------------------------------------------------------------------------# 기..

Daily note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