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 크롤링이란?
웹 크롤링(Web Crawling)은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탐색하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크롤러(Crawler) 또는 스파이더(Spider)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이 웹 페이지의 HTML,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데이터를 가져와 분석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검색 엔진에서 웹 페이지를 색인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이기도 합니다.
2. 웹 크롤링의 주요 단계
- URL 수집: 크롤러는 특정 URL에서 시작하여, 해당 페이지의 HTML 코드에서 새로운 링크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페이지를 탐색합니다.
- 요청(Request): 크롤러는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그에 응답하여 해당 페이지의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 데이터 수집: 수집된 HTML 페이지에서 필요한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를 추출합니다.
- 데이터 저장: 추출된 데이터는 원하는 형태로 저장하거나 가공됩니다. CSV, JSON, 데이터베이스(DB) 등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3. 웹 크롤링에 사용되는 주요 기술
- Python 라이브러리
- BeautifulSoup: HTML과 XML 파일을 구문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 요소를 쉽게 추출할 수 있게 해주는 파이썬 라이브러리입니다.
- Requests: HTTP 요청을 보내 웹 페이지의 내용을 가져오는 데 사용됩니다.
- Selenium: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동적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크롤링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 Scrapy: 웹 크롤링을 위한 강력한 프레임워크로, 대규모 크롤링 작업에 적합합니다.
- HTTP 메서드
- GET 요청: 주로 페이지의 콘텐츠를 가져오는 데 사용됩니다.
- POST 요청: 폼 데이터를 서버에 제출할 때 사용됩니다.
4. 웹 크롤링의 활용 사례
-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특정 주제나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뉴스 웹사이트에서 기사를 수집해 트렌드를 분석하거나, 상품 가격을 비교하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검색 엔진: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 엔진에서 웹 페이지를 색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가격 모니터링: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상품의 가격 변동을 추적하여 비교 사이트를 만들거나 가격을 모니터링합니다.
- 콘텐츠 모니터링: 블로그나 뉴스 사이트에서 새로운 글이 올라오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알림을 보냅니다.
5. 웹 크롤링 시 주의할 점
- robots.txt: 많은 웹사이트는 크롤러가 접근할 수 있는 페이지와 그렇지 않은 페이지를 정의한 robots.txt 파일을 제공합니다.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 HTTP 상태 코드: 200(성공), 403(접근 금지), 404(페이지 없음) 등 서버가 반환하는 HTTP 상태 코드를 파악하여 크롤링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 IP 차단: 너무 자주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크롤러를 감지해 IP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시간 간격을 두고 요청을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 법적 문제: 특정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것은 법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해당 사이트의 이용 약관을 위반하는 크롤링은 주의해야 합니다.
'Daily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I Learned(TIL)-61 (1) | 2024.09.24 |
---|---|
Today I Learned(TIL)-60 (0) | 2024.09.20 |
Today I Learned(TIL)-58 (1) | 2024.09.13 |
Today I Learned(TIL)-57 (0) | 2024.09.13 |
Today I Learned(TIL)-56 (2)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