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ote

Today I Learned(TIL)-27

Jun.o 2024. 7. 30. 21:02

오늘 푼 문제 

보통 for~ if문 

 

--------------------------------------- 공부한 것 모음 --------------------

파이썬 자료형

  • 파이썬에서 여러가지의 자료형들
    • 정수 (integer): ….-5, -4, -3, -2, -1, 0, 1, 2, 3, 4, 5………
    • 실수 (float): 10000000, -68417.1253, 3.14159265….., ……..
    • 논리형 (boolean**): True, False**
    • 문자열 (string): “hello AI7기 여러분 모두 파이팅이예요!”
    • 리스트 (list): list = [1, 2, 3, 4, 5, 5, 5, 5], list = [’A’, ‘B’, ‘C’, “C”, “C” ]
    • 튜플 (tuple): tuple = (1, 2, 3, 3, 3), tuple = (’a’, ‘b’, ‘c’, ‘c’, ‘c’) 튜플은 리스트와는 달리 값 변경이 안됩니다!
    • 딕셔너리 (dictionary): dict = { “key1”: 2024, “key2”: “안녕?”, “key3”: “안녕?” } 값의 중복은 상관없지만 키는 중복되면 안됩니다!
    • 세트 (set): set = { “중복은”, “안되는”, “세트” }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단호한 세트

자료구조(선형구조)

- 배열 메모리상에 연속적인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ㅁ 리스트

  • 메모리상에 임의의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각 데이터들이 앞뒤 관계를 갖게 하는 방법입니다.

ㅁ 스택

  • 선입후출 방식의 자료구조, 선입후출(후입선출)이란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나중에 처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ㅁ 큐

  • 선입선출 방식의 자료구조, 선입선출이란 먼저들어온 데이터를 먼저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료구조(비선형구조)

ㅁ 그래프

  • 노드(요소)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를 의미합니다.

ㅁ 트리

  • 트리는 그래프의 한 종류이며 나무의 가지나 뿌리가 뻗어나는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ㅁ 이진트리

  • 이진트리: 각 부모노드의 자식노드가 최대 2개인 트리
  • 포화이진트리: 이진트리에서 모든 부모가 2개의 자식노드를 갖는 이진트리
  • 완전이진트리: 이진트리에서 거의 모든 노드가 채워져 있으며 가능한한 제일 왼쪽부터 채워져 있는 이진트리
  • 편향이진트리: 한쪽으로만 자식을 갖는 트리

ㅁ 노드

  • 로트노드: 제일 상단에 있는 노드
  • 부모노드: 자식노드를 갖는 노드
  • 자식노드: 부모노드를 갖는 노드
  • 자손노드: 부모노드 하위에 있는 모든 노드

 

 

 

 

 

'Daily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day I Learned(TIL)-29  (0) 2024.08.01
Today I Learned(TIL)-28  (0) 2024.07.31
Today I Learned(TIL)-26  (0) 2024.07.29
Today I Learned(TIL)-25  (0) 2024.07.28
Today I Learned(TIL)-24  (0) 2024.07.27